-
아주대가 우즈베키스탄에 설립한 ‘타슈켄트 아주(Ajou University in Tashkent, AUT)’가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 AUT 첫 졸업식은 지난 26일 우즈베키스탄 수도인 타슈켄트에 위치한 AUT 캠퍼스에서 개최됐다. 328명의 졸업생들과 가족들이 자리한 가운데 AUT와 아주대 관계자들이 함께 참석해 축하를 보냈다. 지난 2021년 2월 우즈베키스탄 수도인 타슈켄트에서 개교한 AUT는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제공한 부지와 건물 등 하드웨어에 아주대의 교육 시스템과 노하우를 결합한 형태다. 이번 첫 졸업식에서 AUT는 건설시스템공학과, 건축학과, 전자공학과 3개 학과에서 졸업생을 배출했다. 건설시스템공학과에서 114명, 건축학과에서 99명, 전자공학과에서 115명 총 328명이다. 세 학과는 아주대 학위과정으로 운영되어, 이 과정을 졸업한 학생들은 아주대 졸업장을 받았다. 우리 학교 최기주 총장이 직접 졸업식에 참석해 학생들에게 직접 학위증을 수여하고 격려했다. 무라토프 가이랏 아자토비치(Muratov Gayrat Azatovich) AUT 총장과 김병관 AUT 부총장, 오석규 건축학과 학과장, 신영석 건설시스템공학과 학과장, 조중열 전자공학과 학과장도 무대에 올라 졸업생들을 격려했다. 최기주 아주대 총장은 “50여 년 전 한국과 프랑스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탄생한 아주대는 AUT와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교육과 문화, 기술 교류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며 “역사적인 첫 졸업생 배출을 축하하며, 대학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이 여러분들의 앞날에 소중한 자산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AUT 무라토프 가이랏 아자토비치(Muratov Gayrat Azatovich) 총장은 “우리 졸업생들이 대학생활을 통해 쌓은 자신감과 자부심으로, 앞으로도 계속해서 나아갈 것으로 확신한다”며 “졸업생 여러분 모두의 더 큰 성공을 기원한다”라고 전했다. 학생회장을 맡았던 우크타모바 샤흐보즈(Uktamov Shakhboz, 전자공학과) 학생은 “지난 4년 동안 학생회장으로 활동하며 학생회를 탄생시키고 구축해가는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어 영광이었다”라며 ”AUT에서의 시간은 학문적 성취뿐 아니라 여러 방면에서 도전적이고 생산적인 순간의 연속이었다“라고 밝혔다. 아주대 교수진이 설계한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집중 지도를 받은 졸업생들은 현지 대기업과 글로벌 기업에 입사, 그동안 쌓은 역량을 펼쳐 나갈 예정이다. 우즈벡 현지에서, 그리고 해외 유학을 통해 학업을 이어나가는 사례도 다수 나왔다. 아주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한 한국 대학의 대학원에 진학하는 17명의 졸업생 외에도 40여명이 독일, 폴란드, 러시아, 말레이시아 대학의 석사과정에 진학한다. AUT(Ajou University in Tashkent)에는 올 9월 현재 1~4학년 1476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아주대 학위과정으로 ▲건축학과(Architecture Department) ▲건설시스템공학과(Civi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Department) ▲전자공학과(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가, AUT 학위과정으로 ▲영어·경영학과(English Philology & Management Department) ▲한국어·경영학과(Korean Philology & Management Department) ▲IT-비즈니스학과(IT-Business Department) ▲실내건축학과(Interior Design Department)가 운영되고 있다. 김병관 제1부총장을 포함한 총 10명의 아주대 교원이 AUT에 파견되어 현지 채용 교원 68명과 함께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아주대 학위과정 학과의 경우 모든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며, 아주대 해당 학과의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운영된다. 이에 아주대 학위가 수여된다. AUT 학위과정의 경우, 아주대가 설계한 커리큘럼으로 운영되며 AUT 학위가 수여된다. 우리 학교는 AUT의 설립을 위해 지난 2019년 4월 우즈베키스탄 고등교육부와 협약을 체결하고, 2021년 2월 AUT를 개교했다. 아주대와 AUT 학생들은 여름방학 기간 중 아주대 캠퍼스에서 진행되는 아주국제여름학교(AISS)와 겨울방학 기간 중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진행되는 AUT 국제겨울학교 등을 통해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학위수여식사를 통해 AUT 졸업생들을 격려하는 최기주 아주대 총장수상한 졸업생을 축하하며 최기주 아주대 총장, 무라토프 가이랏 아자토비치 AUT 총장, 오석규 AUT 건축학과 학과장AUT 건축학과로 파견되어 학생들을 지도했던 김경래 교수(사진 가운데)와의 기념촬영
-
3470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9-27
- 2713
- 동영상동영상
-
(좌측부터) 이범진 약학대학 교수, Nguyen Dinh Hy 연구원과 Advanced Science 논문 게재면약학대학 이범진 교수 연구팀이 환자 편의성을 대폭 개선한 나노 현탁 주사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약물 방출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초기 급격한 방출을 억제하는 새로운 방식의 주사제를 제시한 것으로, 저명한 학술지 'Advanced Science'에 게재됐다. 논문은 Nguyen Dinh Hy 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은 pH(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 지수) 감응성 나노구조 재배열 기술을 통해 퀘티아핀(QTP)의 친유성 프로드러그(체내에서 약리학적 활성 약물로 전환되는 비활성인 약물 또는 화합물)인 퀘티아핀 미리스테이트(QM)를 활용한 자가 조립 나노현탁액(QMN)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통해 혈중 약물 농도를 한 달간 유지하고, 기존 주사제에서 발생하던 초기 급격한 약물 방출 문제를 해결했다. 또한 주사 바늘의 크기를 줄여 환자의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실험 결과, QMN은 생리적 pH 환경에서 나노구조의 재배열을 통해 초기 급속한 약물 방출 없이 안정적으로 약물이 전달되었으며, 실험견(견종 비글)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한 달간 혈중 농도가 지속되었다. 이번 연구는 기존 폴리(락티드-코-글리콜라이드)(PLGA) 기반 장기지속형 주사제에서 자주 발생하던 초기 대량 폭발 방출, 세포 독성 등의 문제를 크게 개선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환자의 치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또한, 연구팀이 개발한 'Fattigation platform' 기술은 다양한 지방산을 약물에 포접시키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초기 급격한 방출이 억제된 장기지속형 주사제뿐만 아니라 암 치료 표적화,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등 다양한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연구는 장기 지속형 주사제의 혁신적 발전을 이루며, 치료 효율성과 환자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이범진 교수와 Nguyen Dinh Hy 연구원은 모두 4단계 BK21사업 'Barriome제어 혁신신약개발 미래인재양성 교육연구팀'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도 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
3468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24-09-26
- 886
- 동영상동영상
-
-
3466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24-09-26
- 722
- 동영상동영상
-
(좌측 다섯 번째부터) 한호 교무부총장, 김재현 전파연구센터장,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 김찬영 과기정통부 장관정책보좌관우리학교 전파연구센터(RRC, Radio Research Center)가 24일 오후 원천관에서 개소식을 가지고 ‘저궤도 위성통신’ 핵심기술을 개발을 위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이날 개소식에는 한호 부총장, 김재현 전파연구센터 센터장,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 김찬영 장관정책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전파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능형 레이다, 전파에너지 응용, 저궤도 위성통신 등 다양한 전파·위성 분야의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대학에 설치한 연구센터로 우리학교를 포함해 현재 15개 센터가 운영 중이다. 올해 우리학교는 전파연구센터로 선정되어 2031년까지 최대 47억원을 지원받기로 했다. 충남대와 포항공과대가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전파연구센터는 한반도 전역에 끊김이 없는 실시간·광대역 6G 모바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할 수 있는 *큐브위성까지 제작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저궤도 위성은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공전하기 때문에 고도가 높은 위성보다 통신 전파 지연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통신위성에 적합하다. 또한 우리학교 전파연구센터는 6G 저궤도 위성 NTN( Non-Terrestrial Network, 비지상망 네트워크) 표준 기술과 끊김이 없는 광대역 모바일 통신 서비스 핵심 기술도 개발할 예정이다. *큐브위성 : 부피 1리터(10 cm*10 cm*10 cm), 질량 1.33kg을 넘지 않는 초소형 인공위성김재현 센터장은 “아주대학교 전파연구센터는 위성통신 및 전파기술의 미래를 선도하는 연구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관련 연구를 통해 고급 연구 인력 양성과 세계적인 기술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3464
- 작성자정우준
- 작성일2024-09-25
- 1104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기계공학과 이진우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목표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소음기 설계 기법을 개발했다. 기존 소음기 설계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자동차와 가전제품, 공장 등의 배기 및 냉난방 시스템의 소음 저감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기계공학과 이진우 교수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음향 해석을 수행하고 역전파법과 생성적 설계 기법을 활용해 목표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음향 최적 설계 기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해당 내용은 ‘인공 신경망 모델의 역전파법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 최적 소음기의 생성적 설계(Deep-learning-based generative design for optimal silencer using backpropag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라는 제목으로 인공지능 관련 학술지 <어드밴스트 엔지니어링 인포맥택스(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JCR ENGINEERING, MULTIDISCIPLINARY 부분 상위 2.0%)> 2024년 10월자에 게재될 예정이다(온라인판 8월 게재). 해당 연구에는 안병현 박사(현 HD현대일렉트릭, 위 사진 오른쪽)가 제1저자로, 이진우 교수(위 사진 왼쪽)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소음기란 자동차와 가전제품, 전차, 플랜트 등에서 발생하는 덕트 소음(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이용되는 음향 장치다. 기존에 활용되던 소음기는 설계자의 과거 경험이나 직관에 의존하여 설계되어왔고, 다른 대안으로 제시되어온 형상·위상 최적화 기법 역시 민감도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소음 저감 성능 개선의 어려움 등 여러 한계를 보여왔다.이에 아주대 연구팀은 인공 지능을 활용해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민감도 해석 기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 소음기 설계 분야에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설계된 소음기에 대한 성능 평가 실험을 통해 그 유효성도 입증해냈다.이진우 교수는 “이번에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면 짧은 시간 내에 목표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소음기를 대량으로 설계할 수 있다”며 “제작 편의성을 고려해 소음기를 선택할 수 있어 앞으로 자동차, 가전제품, 전차와 플랜트 등의 배기 시스템과 냉난방 공조 시스템의 덕트 소음 저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개인 기초 연구 사업-중견 연구 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팀은 앞으로도 인공 지능 기반 음향·진동 해석과 설계에 관한 후속 연구 결과를 연이어 발표할 예정이다.연구팀이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최적 설계된 소음기 내부 구조, 목표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 저감 성능이 대폭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소음기 설계 기법을 반영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프로그램(출처: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
3462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9-25
- 970
- 동영상동영상
-
-
3460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9-24
- 1020
- 동영상동영상
-
우리 학교 기계공학과 연구팀이 날갯짓 드론에 적용할 수 있는 ‘감각 비행’ 제어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스스로 바람을 감지하고 목표 위치까지 비행할 수 있는 스파이 로봇, 탐험 및 재난구조 로봇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주대 기계공학과 자연모사실험실 강대식·고제성·한승용 교수팀은 날갯짓 드론의 독자적 비행 제어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당 내용은 ‘강화 학습을 통한 날갯짓 드론의 스트레인 기반 비행 제어(Wing-strain-based flight control of flapping-wing drones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라는 제목으로 9월20일자 <네이처 머신 인텔리전스(Nature Machine Intelligence)>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우리 학교 김태위 박사, 홍인식 박사, 임성훈 학생이 공동 제1저자로 함께 참여했다.새나 곤충은 비행할 때 감각 비행(fly-by-feel)을 통해 날개와 몸에 느껴지는 바람의 압력과 공기의 흐름을 감지, 방향과 속도를 조절한다. 감각 비행 제어 기술을 활용하면 카메라나 GPS 등의 복잡하고 무거운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주위 환경 변화를 인지할 수 있어 기동성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날갯짓 드론은 잠자리나 나방과 같은 비행 곤충의 비행 능력을 모방해 만들어져, 프로펠러 방식의 회전익 드론보다 구조체가 유연하고 부드럽다. 이에 충돌에 강하고, 소음저감 효과도 우수해 효율적 초경량 드론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날갯짓 드론은 회전익 드론의 제어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정지 체공은 가능하지만 바람을 타고 비행하는 장거리 비행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아주대 연구팀은 날갯짓 드론의 독자적 제어 시스템 개발을 위해 비행 곤충의 날개에 위치한 종 모양의 감각 기관(Campaniform Sensilla)에 착안했다. 잠자리나 나방 같은 비행 곤충은 감각 기관인 컴패니폼 센실라를 통해 바람에 의한 날개의 변형 정도를 감지, 신속하게 비행을 제어한다. 잠자리의 날개 하나에만 약 80여 개의 감각기관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연구팀은 컴패니폼 센실라를 모사한 초경량 고민감도 균열 센서를 개발, 이를 날갯짓 드론에 부착해 날개 변형에 따른 신호 변화를 수집했다. 또 머신 러닝 기술을 활용, 날개 변형 정보 속에 드론 비행 제어에 필요한 바람의 방향과 속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한 비행 제어 시스템이 날개 변형 정보를 통해 비행 중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80%의 높은 정확도로 분류함을 확인했다.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는 드론이 목표 지점으로 날아가 위치를 유지했고, 바람이 불지 않는 환경에서는 스스로 비행 경로를 추적해 사용자가 지정한 6가지 경로로 비행했다. 강대식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에 없던 날개변형 정보 기반의 날갯짓 드론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효성을 검증한 데 의의가 있다”라며 “이번 결과가 정지 체공 뿐 아니라 글라이딩이 가능한 날갯짓 드론 개발의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 지원으로 수행됐다. 날갯짓 곤충과 날갯짓 드론에서 날개 변형을 감지하는 메커니즘* 위 사진 : 아주대 기계공학과 자연모사실험실 교수진. 사진 왼쪽부터 강대식·고제성·한승용 교수
-
3458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9-23
- 965
- 동영상동영상
-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아 아주대에서 ‘2024 SW 커리어페어’가 열렸다.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여러 기업을 소개하고, 기업들에는 우수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행사다. 이번 행사는 12일 체육관에서 50개 기업의 인사담당자 및 실무자가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아주대를 비롯해 인근 대학 학생들 약 700명이 행사장을 찾았다. 이번 행사는 아주대 SW융합교육원이 주최하고 아주대 SW중심대학사업,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첨단분야혁신융합대학사업(미래자동차, 데이터보안·활용융합), LINC3.0 사업, 지식재산융합인재양성사업, 국토교통D.N.A+도로교통분야융합기술대학원 그리고 경희대 SW중심대학사업과 경기대 SW중심대학사업이 공동으로 주관했다.이번 커리어페어는 소프트웨어(SW) 및 인공지능(AI) 관련 분야로 진출하고 싶은 학생들을 위해 마련됐다. LG전자, 현대오토에버, SK쉴더스, CJ올리브네트웍스, 대한항공, 안랩 등 50개 기업에서 인사 담당자와 실무자들이 직접 자리해 학생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대기업과 외국계 기업, 중견기업과 스타트업 등 다양한 기업별로 부스가 마련되어 채용 계획과 인재상 등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1대1 상담도 진행했다. 그 밖에도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합격을 위한 면접 스타일링 ▲퍼스널 컬러 진단 ▲전문기관 취업 상담(수원시고용복지플러스센터, 아주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등도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아주대 소프트웨어학과 최민권 학생은 “평소 궁금했던 다양한 기업의 생생한 이야기를 가까이에서 접할 수 있어서 좋았다”라며 “관심 분야 진출을 위한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행사를 주관한 아주대 SW융합교육원은 지난 2022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지원 SW중심대학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아주대는 학생과 기업, 사회의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아주대는 SW중심대학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사물지능융합기술(AIoT), 지능형 보안, 블록체인, 메타버스 기획, 디지털 휴먼 분야 등에서 우수 인재를 양성해 나가고 있다.SW중심대학사업 단장을 맡고 있는 아주대 강경란 교수(소프트웨어학과)는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이 모든 산업의 기반이 되어가고 있다”라며 “이번 행사가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관련 분야 진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
3456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9-13
- 1354
- 동영상동영상
-
-
3454
- 작성자홍보실
- 작성일2024-09-12
- 1079
- 동영상동영상
-
지난 9일 율곡관 총장실에서 이은상 기부자의 기부금 전달식이 열렸다.이 날 행사에는 이은상 전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참석했다. 학교에서는 최기주 총장과 법학전문대학원 소병천 원장, 윤태영·이진국·조지만 교수, 그리고 조경숙 대학발전본부장이 자리했다. 최기주 총장이 아주 가족을 대표해 감사 인사를 전했다.이은상 기부자는 지난 2020년부터 3년 넘게 우리 대학 법학전문대학원에 교수로 재직했다. 2023년 9월부터는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으로 자리를 옮겼다.이은상 교수는 서울대 법대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법학석사와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0년 제42회 사법시험에 합격했고 ▲서울고등법원 ▲서울행정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등 각급법원 판사로 활동했다.이은상 교수는 아주대 로스쿨 학생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지난 해 7월 법학전문대학원 발전기금으로 1000만원을 기부했다. 이후 아주대를 떠나 자리를 옮겼지만, 교수 첫 부임지인 아주대 로스쿨의 발전을 위해 이번에 1000만원을 추가로 쾌척했다. 이은상 교수의 기부액은 누적 2030만원이다.이은상 교수는 "학생들이 법학을 통해 꿈을 이루고, 함께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갈수 있도록 하는데 작은 보탬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왼쪽부터 윤태영 교수, 이진국 교수, 최기주 총장, 이은상 기부자, 소병천 원장, 조지만 교수, 조경숙 대학발전본부장
-
3452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9-10
- 1294
- 동영상동영상
-
-
3450
- 작성자이솔
- 작성일2024-09-06
- 1141
- 동영상동영상
-
-
3448
- 작성자김민희
- 작성일2024-09-04
- 1709
- 동영상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