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63건
,
54
/
393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698
[칼럼] ‘혈맹’이라는 자산을 활용한 보훈의 외교적 역할 강화
위치 확인
[이국종, 아주대병원 외상외과 교수] 런던의 병원에서 근무할 당시 6·25전쟁 참전용사를 치료한 적이 있다. 노병은 생명이 위독한 상태에서도 내 명찰을 보고는 내가 한국인이라는 것을 금방 알아보았다. 그는 대한민국이 잘 발전하여 보람이 크다고 했고, 난 영국군의 희생을 바탕으로 내가 지금 런던에서 연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감사하다고 했다. 퇴원 전 노병은 주한 미군과 한국군에게 주는 영상 메시지를 남겨 주었고, 난 귀국 후 한국과 미국의 젊은 군인들에게 전달해주었다. 대한민국은 이렇듯 영화의 한 장면에서나 볼 수 있는 숭고한 역사를 가진 나라다. 많은 피를 흘린 6·25전쟁을 겪으며 얻어진 이런 신화와도 같은 귀한 자산을 후대에 잘 전달하는 것은 보훈의 역할이다. 2002년 한·일월드컵 4강전에서 한국과 터키의 경기는 외교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본은 결국 상대국 국민의 마음을 얻는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치열한 마지막 순위결정전에서 양측의 선수와 관중들은 서로를 '형제국'으로 부르며 함께 응원했다. 대한민국이 6·25전쟁을 통해서 유일하게 얻은 것이 있다면, 우리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주기 위해 큰 희생을 치렀던 '진정한 우방'일 것이다. (하략)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1228010012723
1697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29
3406
동영상
동영상
이국종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96
[칼럼] 나이 0살로 되돌리기
위치 확인
[김홍표, 약학대학 교수] 태어나는 순간 우리는 너나없이 0살이었다. 예외는 없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생물학적으로 0살을 정의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합쳐져 곧 수정란이 될 난자와 정자가 부모만큼 ‘낫살’깨나 먹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구중심처에 고이 숨겨져 있다 해도 세월의 더께를 피할 수는 없는 일이다. 사춘기에 약 30만개이던 난자는 37세가 되면 2만5000개로 줄어든다. 폐경기인 약 51세가 되면 그 수는 1000개 밑으로 떨어진다. 슬픈 얘기지만 주인이 살아있는 동안 자신의 기능을 멈추는 거의 유일한 인체 기관이 있다면 그것은 난소다. 폐경기도 불현듯 찾아오지는 않는다. 30대 중반이 넘으면 난자에는 비정상 염색체,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 유전체가 늘어난다. 여성에 비해 늦긴 하지만 남성도 40줄에 들어서면 정자의 운동능력과 수가 현저히 줄어든다. 이렇게 다치고 늙은 두 세포가 만나 0살이 되는 마법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그것은 수단껏 생물학적 나이를 낮추어 ‘최초’의 상태로 되돌리는 일이다. 그래야 종으로서 인간 혹은 한 생명체가 오롯이 유지될 수 있다. 심지어 단세포인 세균도 시종 젊어져야 한다. 이들은 주로 분열하는 동안 손상된 유전자나 단백질을 한쪽 세포에 몰아주는 방식으로 회춘한다. 인간에게는 가짓수로 200종이 넘는 세포가 있고 그 수는 얼추 40조에 이른다. 조혈모세포나 끊임없이 피부를 재생하는 줄기세포가 있지만 세포 대부분은 고유한 자신만의 역할을 그저 수행할 뿐이다. 신경세포, 간세포, 생식세포, 다 마찬가지다. 이들은 하나의 수정란에서 비롯한 자손 세포다. 개별 세포가 물려받은 유전체 서열이 다르지 않다는 뜻이다. 인간은 이들에게 어떻게 개체성을 부여할까? 생물학자들은 유전체에 후성 유전학적 깃발을 꽂음으로 이런 일이 벌어진다고 생각한다. 간세포 유전체에 꽂힌 깃발은 신경세포의 그것과 다르다. 그렇게 각각의 세포가 구분된다. 우리는 이들 세포가 분화했다고 일컫는다. 분화된 세포 연합체인 인간은 비로소 숨 쉬고 일하고 자식을 키운다. (하략)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212290300015
1695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29
3238
동영상
동영상
김홍표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94
[칼럼] 생존 불안감 클수록 막말 급증 "솔직한 사람이네" 미화는 금물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우리 사회와 조직에서 막말에 관한 이슈들이 도처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기업에서도 리더와 폴로어 어느 쪽이든 이런 말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흔하게 관찰된다. 그런데 이런 막말은 왜 자꾸 증가하는 것일까? 그리고 그 막말의 폐해는 어느 정도일까? 그리고 이를 막아내려면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막말의 근본에는 혐오가 존재한다고 한목소리로 이야기한다. 그런데 이 혐오는 진화적으로 생존에 필요한 반응이다. 더러운 오물 혹은 동물의 썩은 사체를 보면 혐오감을 즉각적으로 느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먹고 섭취하는 생존에 극히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이러한 혐오 표현이나 막말이 발생하는 데에는 생존 자체에 위협감을 느끼기 때문이며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반응보다 더 빠르고 강력하다. 흥미로운 점은 신속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강조하는 사회와 조직 내에서 생존과 관련된 불안 요소가 강해지면 막말은 급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 불을 지르는 요인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이런 표현을 하는 사람들이 솔직한 사람이라고 평가받을 때다. 심리학자인 길라드 펠드만 홍콩대 교수에 의하면 혐오적인 막말을 하는 사람이 예의 바르게 말하는 사람보다 더 솔직하다는 평가를 받는 현상이 분명하게 관찰된다. 그런데 사람들이 공개적인 상황에서 다소 위험이 뒤따르는 행동을 과감하게 한다는 것은 사전에 그 행동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조합하면 다음과 같은 추론이 가능해진다. 막말을 하는 사람은 과거의 유사한 경우에 솔직하거나 심지어 진정성 있는 사람으로 누군가로부터 평가받는 강화가 있었다는 뜻이 된다. 따라서 이들을 무심코 솔직한 사람으로 미화하면서 발언에 진정성을 부여하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된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10585357
1693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29
3293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92
[시론] 2023년 천연가스 시장 여건
위치 확인
[최기련, 에너지학과 명예교수] 바로 눈앞인 2023년 에너지·가스시장의 전망이 쉽지 않다. 정확히는 망설여진다. 그래서 내년 시장 전망보다 여건 분석만이 필자의 능력으로 가능한 것 같다. 이는 올 한해 너무 많은 경제사회·지정학적 여건의 급변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가스시장은 더욱 그러하다. 단기적 불확실 요인이 중첩되고 있다. 이들이 다시 중장기 불확실성으로 이연된다. 이 모두가 금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 이후의 일이다. 2022년 세계 경제 여건은 우크라이나사태 직후에는 총체적 경제혼란(퍼팩드 스톰: Perfect Storm)으로 발전될 조짐마저 있었다. 3년 전 유발한 코로나 대유행이 유발한 경제순환 둔화와 국제무역 위기가 더욱 증폭된 것이었다. 그 후 각국은 금리 인상 등을 통한 긴축정책을 강화하였다. 금융정책이 실물부문을 앞서 위기 해소에 나선 것 같았다. 다행히 지금은 글로벌 경제위기 가능성은 생각보다 낮다. 최근 물가 상승세가 꺾여서 금리 인상 기조가 완화 가능성이 보인다. 이는 근본적으로 에너지가격, 특히 유럽에서 천연가스 가격하락에서 시작된 면이 많다. 미국이 세계 경제 주도권을 가지고 있으나 위기의 유럽 상황과 중국 등 아시아 경제권 영향력도 커져만 간다. 천연가스 등 에너지문제 역시 지금은 그 영향력이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내년 세계 천연가스 가격의 안정은 글로벌 에너지시장은 물론 세계 경제 상황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하략) http://www.ga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291
1691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23
4240
동영상
동영상
최기련 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90
[기고] 리모델링사업 위험론에 대한 반론
위치 확인
[신동우, 건축학과 명예교수] 지난주 한 지인의 귀띔으로 '리모델링 사업의 위험성'이라는 기사를 보았다. 간단히 말해서 "위험하니 폐기해야 한다"는 게 그 요지다. 리모델링을 연구해온 필자로서는 솔직히 씁쓸한 기분이다. 하지만 리모델링 토론을 위한 좋은 기회가 되겠다는 생각도 함께 해본다. 리모델링은 과연 왜 필요할까? 리모델링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30년을 채웠다고 재건축을 허용하여도 사업이 안 되는 단지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 때문이다. 물론 현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 정책은 어느 정도 사업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노후화한 전국의 모든 공동주택들이 단지 여건을 초월해 당장 재건축이 가능해지는 것은 아니다. 결국 조기 재건축이 불가능한 단지들이 무수히 많을 수밖에 없다. 2022년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1200만세대의 공동주택이 있으며, 그중 150만세대는 이미 입주 후 30년이 경과했다. 이런 노후 주택들은 30년 전 공급한 만큼씩 매년 증가해 2032년에는 519만세대에 이르게 되며, 이들 중 상당 부분은 재건축이 불가능한 단지들이다. 만약 이들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대안이 없다면, 도심의 빈집과 슬럼화는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 물론 증축형 리모델링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만 한다. 2014년부터 증축형 리모델링이 시작된 초기에는 주민들이 재건축에 상응하도록 세대 계획을 요구해 과도한 내력벽 철거가 문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들은 그동안 인허가 기술 심의에서 과하다 싶을 정도로 깊이 있게 검토되고 걸러져 왔다. (하략)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060215?sid=110
1689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16
4317
동영상
동영상
신동우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