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63건
,
203
/
393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953
[칼럼] 남들이 가지 않은 길 걸었던 ‘모험예술가’…31년 전 오늘 떠났다
위치 확인
[주철환교수, 문화콘텐츠학과] ■ 유재하 ‘사랑하기 때문에’ ‘금잔화도 인가도 보이지 않는 밤이 되면/폭포는 곧은 소리를 내며 떨어진다’(김수영 ‘폭포’ 중). 솔직히 금잔화는 그 시에서 보고 끝이었다. 길가에 지천으로 피어 있어도 모르고 지나쳤을 거다. 금잔화를 넋 놓고 본 건 멕시코 배경의 애니메이션 ‘코코’에서다. 지금 그곳을 여행 중이라면 금잔화 향기에 흠뻑 취할지도 모르겠다. 멕시코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가 ‘죽은 자들의 날’인데 망자들이 이승으로 건너오는 무지개다리 위에 금잔화 꽃잎이 수북이 쌓여 있기 때문이다. ‘영원히 기억하고 싶은 사람이 있나요?’ 생사초월의 사랑을 담은 ‘코코’의 포스터에 쓰여 있던 질문이다. 주제곡의 여운조차 꽃 색깔만큼이나 강렬했다. ‘서글픈 기타 소리 들을 때마다(Each time you hear a sad guitar)/함께 있다는 걸 알아줘(Know that I’m with you)/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잖아(The only way that I can be)’(‘리멤버 미(Remember me)’ 중). 음악동네에서 오늘(11월 1일)은 기억할 만한 날이다. 바이올린, 피아노, 기타, 키보드 등 여러 악기 연주에 능통했던 대학생 미카엘(세례명)은 스물두 살이던 1984년에 그 유명한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의 키보드 주자로 발탁된다. 대학 졸업 후엔 김현식과 봄여름가을겨울에 합류하고 김현식 3집의 ‘가리워진 길’을 작사, 작곡한다. 1987년엔 전곡 창작의 솔로 앨범 ‘사랑하기 때문에’를 발표한다. 클래식과 재즈를 대중가요에 접목하고 편곡 능력마저 탁월했던 재주 많은 청년은 그 후 어떤 길을 걷게 되는가. (하략) 2018년 11월1일 문화일보 기사 원문보기
952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1-02
7139
동영상
동영상
JJH.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51
[칼럼] 표준전쟁을 준비하라
위치 확인
[조정훈 교수, 통일연구소] 영어권에서 흔히 쓰는 전화 인사말인 '헬로(Hello)'를 대중화한 사람은 다름 아닌 토마스 에디슨이다. 그는 그레이엄 벨이 발명한 전화기의 시연 장면을 보고 놀라 헐로(Hullo)라고 외쳤다고 한다. 그 뒤 전화 사업을 시작하려는 친구에게 전화 통화의 인사말로 헬로를 권장했고 이로부터 전화 인사말의 표준은 헬로가 되었다. 그 뒤 벨은 헬로 대신 뱃사람이 사용하던 '어호이(ahoy)'를 제안했지만 세상은 이미 헬로로 수렴된 후였다. 전화 인사말에 관한 표준전쟁의 승자는 에디슨이었다. 사전을 뒤적이면 표준(標準)이란 사물의 정도나 성격 따위를 알기 위한 근거나 기준이라 한다. 그렇다면 통일의 과정과 통일된 코리아를 만들어가는 것도 결국 남과 북이 하나의 근거와 기준을 가지고 살게 되는 것, 즉 하나의 표준을 가지고 사는 준비를 하고 살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표준화가 통일의 과정에서 중요한지 질문해 보자. 첫째는 산업기술의 표준화이다. 분단 이후 남과 북의 산업과 기술은 매우 달라졌다. 한 예로 요즘 가장 뜨거운 관심인 남북철도를 보자. 철도연구원의 자료에 의하면 남북 간 철도연결을 위해서는 선로등급, 구조물, 전철 전력기준 그리고 철도 궤도의 폭까지 전 분야에 걸쳐 표준화 작업을 거쳐야 한다고 한다. (하략) 2018년 10월31일 뉴스1 기사 원문보기
950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1-01
7299
동영상
동영상
JJH.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49
[칼럼] 저 산은 잊으라 하지만 … ‘원정대’는 우리 가슴에 피고 물들 것이다
위치 확인
[주철환교수, 문화콘텐츠학과] ■ 하덕규 작사·작곡 ‘한계령’ ‘하늘을 보면/님의 부드러운 고운 미소/가득한 저 하늘에/가을이 오면’(이문세 ‘가을이 오면’ 중). 가을은 오는 걸까. 아니면 우리가 가을을 향해 가는 걸까. 진작에 와 있는데 이제야 알아차린 건 아닐까. 와도 불러주지 않으면 가을은 그냥 지나가고 만다. 그리고 언젠간 부르지 못할 때가 올 거다. 토라진 가을과는 그렇듯 영영 헤어지는 거다. 가을 산행에 단풍을 보는 심사가 편치 않았다. 히말라야 원정대 영결식장에서 울려 퍼진 노래가 상념을 무겁게 눌렀다. ‘저 산은 내게 우지 마라 우지 마라 하고/발아래 젖은 계곡 첩첩산중/저 산은 내게 잊으라 잊어버리라 하고/내 가슴을 쓸어내리네’(양희은 ‘한계령’ 중). ‘왜 산에 오르느냐’고 묻자 ‘그 답을 찾기 위해 오른다’고 답한 김창호 대장이었다. 이제 그는 답을 찾았을까. 스스로에게 묻는다. ‘왜 그러고 사느냐’. ‘그 답을 찾기 위해 산다’는 경지엔 오르기 힘들 것 같다. 사는 게 힘든 건 우리가 높은 곳을 향해 오르고 있기 때문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원정대는 남들이 간 등반로를 따라간 게 아니라 새 길을 개척하는 일에 목숨을 걸었다. 그들이 만든 지도 앞에서 묵념의 시간을 갖는다. 이 모양 이 꼴로 살다간 결국 이 모양 이 꼴로 죽게 된다는 자괴감이 내 가슴을 쓸어내린다. 일찍 물든 단풍잎은 어느새 낙엽이 돼 짓밟히고 있다. 지금은 ‘이야기 속의 소년같이 용감해지지 않으면 안 된다’(이효석 ‘낙엽을 태우면서’ 중). (하략) 2018년 10월25일 문화일보 기사 원문보기
948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0-31
7167
동영상
동영상
jjh.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47
[칼럼] 남은 3년간 아베 수상이 하고 싶은 것은
위치 확인
[박성빈, 아주대 국제학부장] 올해 9월 아베 수상은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경쟁자인 이시바 전 자민당 간사장을 물리치고 자민당 총재로서 연속 3선에 성공했다. 자민당 규칙에서는 당 총재임기를 ‘연속 3기 9년’까지로 규정하고 있어 아베 수상의 최대 재임기간은 2021년 9월까지이다. 내년 11월20일에 아베 수상의 재임기간은 기존 가쓰라 다로 수상(2천886일)의 최장수 재임기록을 누르고 일본 헌정사상 최장 재임 수상이 된다. 일본 내에서는 점차 아베 수상의 레임덕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의 유명 저널리스트인 다와라 소이치는 AERA에서 “아베 수상의 레임덕은 누구도 막을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아베 수상의 레임덕이 시작된다고 해도, 이는 한국에서 대통령 임기 후반 관찰되는 레임덕과는 조금 다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일본에서는 통상 내각 지지율이 30%보다 낮아지면 내각 자체를 유지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질 것으로 본다. 즉 아베 수상이 30% 이상의 지지율을 유지할 수 있다면 수상의 리더십이 극단적으로 약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또한 차기 수상 역시 여전히 자민당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하략) 2018년 10월30일 경기일보 기사 원문보기
946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0-31
7170
동영상
동영상
psb.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945
[칼럼] 피부의 ‘점’은 생명체의 역사
위치 확인
[김홍표교수, 약학과] ‘봄볕엔 며느리, 가을볕엔 딸을 밭에 내보낸다’는 옛이야기의 주인공은 바로 자외선이다. 지구 역사 어느 순간 부산물로 산소를 만들어 내는 남세균이 등장하고 덩달아 대기 중 오존층이 형성되면서 생명체에 해로운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었다고 고생물학자들은 말한다. 그렇다면 오존이 만들어지지 않았던 초기 지구는 어땠을까? 노르웨이 오슬로대학의 헤센 박사는 처음에는 황을 포함한 기체가, 그 후로는 메탄이 어느 정도 자외선을 차단했으리라고 추정했다. 태양은 다양한 파장을 지닌 전자기파를 송출한다. 우리는 식물이 광합성에 사용하는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을 자외선, 반대로 긴 파장을 가진 파동을 적외선으로 분류한다. 햇살이 비친 벽돌의 따스함은 적외선의 효과를 드러내는 것이지만 자외선은 단백질이나 유전자 같은 생체고분자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빛에 오래 노출된 세포를 죽일 수도 있다. 지구에서 자외선의 이런 위험성은 생명 탄생 초기부터 지금까지 쭉 이어져 왔다. 지금껏 모든 생명체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몇 가지 장치를 진화시켜 왔다. 우선 자외선을 피해 달아나는 회피 행동, 두 번째로,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흡수하는 화합물을 만드는 일, 마지막으로 손상된 유전자를 수리하거나 항산화 효소를 합성하는 일 등이다. 모두 생명의 세계에서 흔히 관찰되는 현상이다. 수생 어류나 유충 또는 플랑크톤은 내리쬐는 자외선을 피해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밤에만 활동하는 동물들은 자외선 걱정을 덜었을 것이다. 이들은 모두 회피 방식이다. 한편 우리가 아는 거의 모든 생명체들은 멜라닌 혹은 카로틴과 같은 물질을 만들어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손상된 유전자를 수리하는 정교한 도구 또는 항산화 효소를 개발했다. (하략) 2018년 10월30일 경향신문 기사 원문보기
944
작성자
통합 관리자
작성일
2018-10-31
7186
동영상
동영상
khp.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